본문 바로가기
부동산상식

이사할때 준비사항과 챙겨야할것 알고계셔야 손해안봅니다

by 기억의습작 2021. 3. 26.

이사할때는 이삿짐도 들어오고 수도,전기,가전,가구 등등 여러가지 일때문에 정신이 없습니다. 그래서 이사전에 미리 리스트를 작성해서 준비해놓으시면 빼먹지 않고 성공적인 이사를 하실수가 있습니다. 최근에 이사를 경험하면서 겪은 이사할때 준비사항과 챙겨야할것에 대해서 기간별로 알려드리겠습니다.

 

이사 1주일전

 

 

1. 도시가스 철거및 마감플러그 작업 신청하기, 도시가스는 안전과 관련된 부분이기 때문에 꼭 도시가스회사 직원이 와서 직접 작업을 해주어야 합니다. 해당지역 관할 도시가스 고객센터에 연락을 해서 최소 일주일에서 3일전까지는 미리 시간약속을 잡아야 합니다.

 

2. 이사를 가야하는 집에 미리 엘리베이터 사용예약을 하셔야 합니다. 공동으로 사용하는 엘리베이터인 만큼 사전에 이사갈 집에 경비실에 연락을해서 이삿날통보와 엘리베이터를 사용할것인지 사다리차를 사용할것인지 미리 알려주어야하합니다.

 

3. 각종 금융기관과 신용카드,보험사에 등록되어 있는 우편물 수령주소를 수정해야합니다. 수정을 안하면 한동안 전에 살던집에 가서 우편물을 가져와야하는 불편함이 있을수가 있습니다. 한번에 모든 사이트의 등록된 주소를 일괄변경할수있는 사이트가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한국신용정보원

 

www.kcredit.or.kr

 

4. 이사를 나가는날 기준으로 수도요금과 전기요금을 경비실에 통보하고 정산을 해야합니다. 나중에 분쟁의 소지가 있을수 있기 때문에 정확히 나가는날로 계산하시는게 좋습니다.

 

5. 이사를 가면서 기존에 쓰던 가전제품을 버리게 된다면 폐가전무료수거서비스가 있으니 미리 신청하도록 합니다. 혹시 시간이 맞지 않는 경우가 있으니 이사전부터 조금씩 정리하시는게 좋습니다.

 

이사 1~2일전

 

1. 냉장고의 경우 최소 3~5시간을 전기 전원없이 음식물이 냉동냉장이 안되기 때문에 쉽게 상하는 음식은 사전에 미리 취식하시고 음식물의 양을 최소한으로 하시기 바랍니다.

 

2. 버리기로 한 물건에는 매직이나 테이프로 표시를 해서 버릴물건이라고 표시를 해야합니다. 이삿짐센터에서는 구분을 할수 없기 때문에 버리기로 한 물건이 새로온집까지 같이 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사 당일

 

1. 전기,가스,수도요금을 이사 나가는 날 기준으로 정산합니다.

 

2. 부동산에 잔금과 복비 정산

 

3. 가전,가구 및 바닥과 타일 파손상태 확인합니다.

 

4. 전입신고 및 확정일자 받기 주민센터를 방문하거나 민원24를 통해 온라인으로 신청합니다.

 

정부24

 

www.gov.kr

 

댓글